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상근증후군 원인 치료 관리 후유증

by 헬스로드 2025. 7. 12.

목차

  1. 이상근증후군이란?
  2. 이상근증후군 주요 원인
  3. 이상근증후군 주요 증상
  4. 이상근증후군 치료법
  5. 이상근 증후군 관리방법
  6. 이상근증후군 후유증
  7. 결론

 

 

 

 

 

1. 이상근증후군이란?

이상근은 엉덩이 깊숙한 부위에 위치한 작은 근육으로, 대퇴골을 외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상근 바로 아래에는 좌골신경이 지나가는데, 이상근이 경직되거나 비대해질 경우 이 좌골신경을 압박하게 되어 엉덩이 통증과 함께 다리 뒤쪽으로 저림, 감각 이상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이를 ‘이상근증후군’이라고 합니다.

흔히 허리디스크와 혼동되기 쉬우며, MRI나 CT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에도 증상이 계속된다면 이 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2. 이상근증후군 주요 원인

이상근증후군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장시간 앉아 있는 생활습관
    오랜 시간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는 이상근에 지속적인 압력을 주어 근육이 굳거나 경직되기 쉽습니다.
  2. 반복적인 운동 또는 외상
    장거리 달리기, 자전거 타기, 계단 오르기 등 반복적인 엉덩이 근육 사용은 이상근을 과도하게 자극할 수 있습니다.
  3. 엉덩이 근육의 불균형
    골반의 정렬이 틀어지거나, 대둔근·중둔근의 기능 저하로 인해 이상근이 보상적으로 과도한 긴장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외상 또는 충격
    엉덩이를 세게 부딪히거나 넘어지는 사고 등도 이상근을 자극하여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이상근증후군 주요 증상

  • 엉덩이 깊숙한 부위의 통증
  • 앉았다 일어날 때 통증 심화
  • 한쪽 다리로 뻗치는 저림 또는 전기 찌릿한 감각
  • 오래 걷거나 계단 오를 때 증상 악화
  • 자고 일어나면 한쪽 다리에 당기는 느낌이 지속됨

좌골신경통과 매우 유사하지만, 허리보다는 엉덩이 중심의 통증이 특징적이며, 허리 MRI에서 이상이 없는데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이상근증후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이상근증후군 치료법

이상근증후군은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만 잘 이뤄진다면 비교적 회복이 빠른 질환입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치료 방법들입니다.

  1. 물리치료
    전기 자극 치료, 핫팩, 초음파 치료 등을 통해 이상근의 긴장을 풀고 좌골신경 압박을 완화시킵니다.
  2. 수동 스트레칭 및 도수치료
    전문 물리치료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동 스트레칭은 근육 긴장을 효과적으로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약물치료
    소염진통제, 근육 이완제 등을 통해 통증을 줄이고 염증을 완화시킵니다.
  4. 주사치료
    통증이 심한 경우 국소 마취제나 스테로이드 주사로 통증 부위를 직접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5. 자세 교정 및 운동치료
    엉덩이 근육을 강화하고, 골반 균형을 맞추는 운동은 재발 방지에 매우 중요하다. 필라테스나 클램셸 운동 등이 도움이 됩니다.
  6. 수술적 치료 (희귀한 경우)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는 만성 환자에 한해 신경 감압술 등 수술적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5. 이상근 증후군 관리방법

이상근증후군의 완전한 회복과 재발 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관리가 필요합니다.

  1. 의자 생활 시 등받이에 등을 기대고 앉으며 허리를 꼿꼿이 유지한다.
  2.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1시간마다 일어나 스트레칭을 한다.
  3. 이상근을 직접적으로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꾸준히 실시한다.
  4. 엉덩이 근육군(대둔근, 중둔근)을 강화하여 이상근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인다.
  5. 평발이나 다리 길이 차이 등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면 교정 신발이나 인솔을 착용한다.

 

6. 이상근증후군 후유증

이상근증후군은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만성 통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후유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만성 좌골신경통
  • 하지 감각 이상 (저림, 화끈거림)
  • 근육 위축 및 보행 불균형
  • 허리·골반 통증으로의 연관 통증 전이
  • 우울감 또는 수면 장애

증상이 몇 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악화된다면 단순한 근육통이 아닌 신경압박성 통증으로 이행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상근증후군은 단순 통증으로 방치하지 말고 조기에 진단받고 꾸준한 관리와 운동을 통해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7. 결론

이상근증후군은 현대인의 생활 습관과 매우 밀접한 질환으로, 책상 앞에 오래 앉아 있는 사람, 장시간 운전하는 사람, 과도한 하체 운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한다. 치료에 있어 중요한 것은 정확한 진단과 적극적인 관리이며, 통증을 단순한 엉덩이 통증으로 넘기지 말고 전문가의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올바른 스트레칭과 자세 관리, 엉덩이 근육의 강화 운동은 예방과 회복에 결정적인 도움을 줍니다. 이상근증후군으로 인해 삶의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오늘부터라도 실천 가능한 관리법을 시작해보는 것이 좋습니다.